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지난 한 달 여간, 다른 일들을 하느라 차분히 앉아 독서할 틈이 없었다. Covid 19 때문에 주업도 거의 안 하고 있는데 그렇다. Webinars/PPP application 땜에 컴퓨터를 많이 쓰고,  베란ㄷ 프로젝트/gardening, 집정리하느라 육체 노동을 했더니 테니스 엘보우 & 마우스 숄더가 생겼다. 안식에 대한 독서도 했으면서 실천은 꽝이라고 볼 수 있다. 여전히 being 보다는 doing 에, 관계 (covenantal relationship) 보다는 productivity/efficiency 에 매달리고 있는 모습이다. 하나님을 구하고 기도하는건, covid 19 전보다도 오히려 더 못하고 있다.


결국 어제는 목에 담이 걸려서 아무 일도 못하고 누워있었다. 그러면서 지난 한달동안 띄엄띄엄 진도 안나가던 책을  마저 마쳤다. (담걸린 목은 오늘 괜찮다. 어깨랑 엘보우도 낫다)


월터 브루그먼의 <Reality, Grief, Hope: Three urgent prophetic tasks> 

구약 시대, 제국(empire)  narrative 에 저항해, 선지자들이 reality, grief, hope 의 세가지 prophetic tasks 를 이행함으로써 어떻게 하나님의 narrative 를 설파/구현했나 풀어나간다.

그리고 9.11 이래 흔들리기 시작한 미국의 exceptionalism 의 배경 속에, political, economic, ideological 면에서 어떻게 reality, grief, hope 의 three prophetic task 를 실행할까 제시한다.


월터 브루그자신의 요약인터뷰 영상


미국의 (triumphalism과) exceptionalim 에서 grief(lament) 을 얘기했다는 점에서, 1 년 늦게  출판된 Soong-Chan Rah 의 <prophetic lament> 와 공통점이 있지만, Soong-Chan Rah 는 인종차별의 맥락 속에서 사회정의에 촛점을 뒀다면, 월터 브루그먼은 경제, 정치, 이념의 맥락 속에서의 prophetic task 에 중점을 뒀다. Wikipedia 에서 월터 브루그먼에 대한 설명에 나온 거처럼 그의 18 번 분야라고 볼 수 있다. 


He argues that the Church must provide a counter-narrative to the dominant forces of consumerismmilitarism, and nationalism.

2014 년에 출판된 위의 책은 2001 년 이후 post-9.11 시대가 배경이긴 하지만, 그가 주장한 prophetic tasks 는 2020 년 covid 19 시대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많은 언론에서 다뤄지듯, Covid 19 으로 인해서 미국과 중국 등의 패권경쟁 (현대의 제국?들의 경쟁) 이 더 심화되는듯 하고 온갖 갈등과 변화가 있다.   Shelter in Place 집콕상태이지만, 세계적, 영적 지각변동을 겪고 있는 중이다. 

그런 강대국들의 갈등 속에서 하나님 나라의 prophetic tasks 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경쟁 구도 속에서   "neighborliness" 를 어떻게 추구해나가야 하는가? 여러 질문들이 생긴다.  


글쎄. 경제적/정치적 정책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시민으로서, 앞으로 어느 정치인의 어떤 경제 정책을 지지할 것인가? 등 더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될 듯 하다. (정치/경제에 무관심한 일인이었으나)

또한 하나님을 믿는 이들에게는 우리의 기도를 듣고 응답하시는 하나님께 구하고 일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할 막중한 기회와 책임이 있다. 다음 책 인용문처럼 예수님의 example 을 따라서. 

Unlike the "objective" religion of the empire, this narrative features an engaged, interactive, subjective faith. The God of this narrative is impacted by the prayers of the faithful. Thus, lament, complaint, and protest are legitimate ways to interrupt the thin doxologies of the empire by giving voice to the burdened particularity of daily life. The God of this narrative is drawn into that burdened dailyness in transformative ways. 

It is clear, moreover, that this practice of an alternative, seen clearly in the Old Testament texts, is reenacted in the narrative of Jesus:

1. The economy of abundance is featured in the "feeding miracles" wherein five loaves and two fish are enough for five thousand men, plus women and children. (Matthew 14:21).

2. The politics of dialogue is evident in the awareness of Jesus that he has been "touched" in a way that emits transformative power (Mark 5:30). That same demanding interaction is performed in the narrative wherein the outsider woman can challenge Jesus so that she becomes a member of the household; indeed, she becomes Jesus' teacher concerning his vocation (Mark 7:28).

3. The subjective practice of religion is commended in Jesus' parable of "the importunate widow" who is voice "from below" who incessantly addresses power (Luke 18:1-8). 

In each case, Jesus, like his Old Testament antecedents, shatters conventional propriety and legitimate alternative practice that arises from below. In this practice, he both exposes the inadequacy of empire and gives an invitation to the neighborhood. In the parlance of the church, the new selves of emancipated urgency are baptized persons. In the rhetoric of ancient Israel, they are members of the covenantal community that maintains a distinct identiy and a distinct practice in the face of empire.

(p145-146, Reality, Grief, Hope.. by Brueggemann)


:
Posted by pleasing2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