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2020. 6. 1. 03:30

이 땅 카테고리 없음2020. 6. 1. 03:30

지금 뉴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는 지금 미국에서 일어나는 일들로 흘러넘치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 보면 인종에 관계없이 모두 목소리를 높이며 애도하고 있다.  

그 중에는 흑인 동창들도 있는데 그들이 지금 이 상황을 어떻게 personally 받아들이고 있나 읽으면  눈시울이 붉어지고 가슴이 한없이 무거워진다.

그런데 피드에 간간히 섞여있는 한국 뉴스나 내가 팔로우하고 있는 한국 목사님들 피드를 보면, 전혀 다른 내용들이 올려지는 걸 본다. 그건 당연하다. 한국에 있는 이들이 관심있는 이슈와 미국의 이슈가 다른건 무척 당연하지.  

그 divide 속에서 스스로를 바라보면서, 이젠 그전에 비해서  지금 살고 있는 이 땅에  소속감을 좀 더 느끼는구나 깨닫는다.  

 

고등학교 때 미국에 와서 살아오면서 스스로를 어디에 position 해야 하는지 전혀 아이디어도 없이 살아왔다. 사회 이슈에 관심을 가질 틈도 없이 학업과 삶에 쫓기며 살아왔으니까. 

아니, 인터넷 신문을 볼 때는 한국 신문을 더 많이 봤고, 한국 프로그램 비디오를 미국 tv 보다 더 많이 보면서 한국에의 그리움에 사무쳐 살았다고 볼 수 있다. 


아이아빠가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로 취직해서 올 당시, 나는 아직 학위 논문을 쓰는 중이었고, 이미 동부에 있는 치대들에서 입학허가를 받아놓은 상황이었다. 

그런데 아이 아빠가 캘리포니아에 오니까 나도 캘리포니아의 치대에 인터뷰를 하러 왔었다. 샌프란시코의 치대였는데  그 때 인터뷰하는 분이 흑인 여성 교수이셨다. 

학업과 육아, 살림에 쫓기며 사회 문제에 관심도 가질 틈도 없이 살아온 내게 이런 질문들을 했다.

"LA 폭동 시절 미국에 있었을텐데, 그 당시 어떤 생각을 했는가? 그에 대한 네 의견은 무엇인가?" --- 음.. 그 때 미국에 온지 1 년 밖에 안되었던 고등학생이었기에 별 생각이 없었고 그 후로도 인종문제에 대해서 생각할 틈없이 살아왔기에, 내 답은 허접하기 그지 없었다

"미국의 healthcare system 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역시 그 문제에 대해서 무지했고 그럴듯한 의견도 없었다.

그러니, 인터뷰 점수가 당연히 나빴을 거고. 지원한 모든 동부 치대들에서는 금방 입학 허가를 받은데 비해서, 샌프란시스코 치대에서는 waiting list 였다. 내 전공분야였던 biomedical research 에 대한 질문을 안 하고, 지원자 특색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희정책이슈에만 대해서 질문한 interviewer 을 내심 질책했다.   


한편 그렇게 인터뷰 질문에 나올만큼, 인종/불평등의 이슈와 healthcare system 의 이슈는 미국에서 계속해서 큰 문제였다. 미국 역사 속에 계속해서... 

지금  covid 19 시대에 더 불거지고 있다.

나도 그 이슈들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제야 시민다운 시민이 되어가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

우리의 아이와,  어린 세대 많은이들 대들이 살아갈 땅이기에 더더욱 그렇다 (다른 곳으로 이주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이땅을 위해서 진심으로 기도한다.


1990 년대 중후반 '부흥'찬양을 교회들에서 수도 없이 목터져라 부를 때 "이 땅의 황무함을 보소서,.." 가사의 "이 땅"은 당연히 한국이거나 미국 내의 한인사회였다.  1997년 말 (우리 결혼식 며칠 전), 그 당시 한국집 근처 온누리 교회에 혼자 가서 송구영신예배를 드렸었다. 한국의 외환위기 직후여서였을까, '부흥' 예배 끝에 부르는데 사람들의 찬양이 무척 뜨거웠던 기억이 난다.  (보스턴에서 함께 신앙생활을 하다가 귀국했던 지체를 우연히 마주쳐서 반가웠다)


최근 며칠동안, 미국뉴스를 접하며 부흥 노래를 기도처럼 절로 떠올리게 된다.  (이 찬양은 시도 때도 없이 떠오르고 아마도 앞으로도 그러겠지만)


"이땅의 황무함을 보소서. 하늘의 하나님 긍휼을 베푸시는 주여........."   

(밑에 옮겨온 영상의 배경이 그랜드 캐년 등 미국 땅이네..)




:
Posted by pleasing2jc

5/29 Sojourners 에 Soong-Chan Rah 가 쓴 글이다. 


https://sojo.net/articles/lamentations-5-2020?fbclid=IwAR0be23fu30a09MCaK2CgmcBHWDDHb_vMlrnkDBF3_6A1HI0abNv7NthGBw


Remember, Lord, what happened to Ahmaud Arbery, Breonna Taylor, and George Floyd;
          look and see the disgraceful way their bodies were treated.
Our inheritance of the image of God in every human being
          has been co-opted and denied by others.
The family of Ahmaud, Breonna, and George Floyd has lost their loved ones,
          widowed mothers once again grieve their dead children.
We must scrap for our basic human rights (even to sit peacefully in our homes);
          our basic needs (even the need to breathe) have a great price.
Corrupt officers pursue us with their knees on our necks;
          we are weary and we find no rest.
We submit to uncaring government officials and to big business to get enough bread.
Our ancestors sinned the great sin of instituting slavery;
          they are no more — but we bear their shame.
The system of slavery and institutionalized racism ruled over us,
          and there is no one to free us from their hands.
We get bread (or jog in our neighborhoods) at the risk of our lives
          because of the guns on the streets.
George Floyd is down on the street, his body crying out for air.
Black women have been violated throughout our nation's history;
          Breonna Taylor gunned down in her own home.
Noble black men have been hung, lynched, and gunned down.
          elders and spokesmen are shown no respect.
Young men can't find work because of unjustly applied laws.
          Unjustly incarcerated because of staggering negative expectations.
The elder statesmen and civil rights leaders have been assassinated;
          young people who speak out their protest through music are silenced.
Trust in our ultimate triumph has diminished;
          our triumphant proclamation of victory has turned to a funeral dirge.
Our sense of exceptionalism has been exposed.
          Woe to us, for we have sinned.
Because of this our hearts are faint,
          because of these things our eyes grow dim
For our cities lie desolate with predatory lenders and gentrifiers prowling over them.
You, LORD, reign forever; your throne endur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hy do you always forget us? Why do you forsake us for so long?
Restore us to yourself, Lord, that we may return;
renew as that we may find a new way forward
unless you have utterly rejected us and are angry with us beyond measure.

Excerpted and reworked (again) from Prophetic Lament: A Call for Justice in Troubled Times

:
Posted by pleasing2jc



지난 한 달 여간, 다른 일들을 하느라 차분히 앉아 독서할 틈이 없었다. Covid 19 때문에 주업도 거의 안 하고 있는데 그렇다. Webinars/PPP application 땜에 컴퓨터를 많이 쓰고,  베란ㄷ 프로젝트/gardening, 집정리하느라 육체 노동을 했더니 테니스 엘보우 & 마우스 숄더가 생겼다. 안식에 대한 독서도 했으면서 실천은 꽝이라고 볼 수 있다. 여전히 being 보다는 doing 에, 관계 (covenantal relationship) 보다는 productivity/efficiency 에 매달리고 있는 모습이다. 하나님을 구하고 기도하는건, covid 19 전보다도 오히려 더 못하고 있다.


결국 어제는 목에 담이 걸려서 아무 일도 못하고 누워있었다. 그러면서 지난 한달동안 띄엄띄엄 진도 안나가던 책을  마저 마쳤다. (담걸린 목은 오늘 괜찮다. 어깨랑 엘보우도 낫다)


월터 브루그먼의 <Reality, Grief, Hope: Three urgent prophetic tasks> 

구약 시대, 제국(empire)  narrative 에 저항해, 선지자들이 reality, grief, hope 의 세가지 prophetic tasks 를 이행함으로써 어떻게 하나님의 narrative 를 설파/구현했나 풀어나간다.

그리고 9.11 이래 흔들리기 시작한 미국의 exceptionalism 의 배경 속에, political, economic, ideological 면에서 어떻게 reality, grief, hope 의 three prophetic task 를 실행할까 제시한다.


월터 브루그자신의 요약인터뷰 영상


미국의 (triumphalism과) exceptionalim 에서 grief(lament) 을 얘기했다는 점에서, 1 년 늦게  출판된 Soong-Chan Rah 의 <prophetic lament> 와 공통점이 있지만, Soong-Chan Rah 는 인종차별의 맥락 속에서 사회정의에 촛점을 뒀다면, 월터 브루그먼은 경제, 정치, 이념의 맥락 속에서의 prophetic task 에 중점을 뒀다. Wikipedia 에서 월터 브루그먼에 대한 설명에 나온 거처럼 그의 18 번 분야라고 볼 수 있다. 


He argues that the Church must provide a counter-narrative to the dominant forces of consumerismmilitarism, and nationalism.

2014 년에 출판된 위의 책은 2001 년 이후 post-9.11 시대가 배경이긴 하지만, 그가 주장한 prophetic tasks 는 2020 년 covid 19 시대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많은 언론에서 다뤄지듯, Covid 19 으로 인해서 미국과 중국 등의 패권경쟁 (현대의 제국?들의 경쟁) 이 더 심화되는듯 하고 온갖 갈등과 변화가 있다.   Shelter in Place 집콕상태이지만, 세계적, 영적 지각변동을 겪고 있는 중이다. 

그런 강대국들의 갈등 속에서 하나님 나라의 prophetic tasks 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경쟁 구도 속에서   "neighborliness" 를 어떻게 추구해나가야 하는가? 여러 질문들이 생긴다.  


글쎄. 경제적/정치적 정책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시민으로서, 앞으로 어느 정치인의 어떤 경제 정책을 지지할 것인가? 등 더 관심을 많이 가지게 될 듯 하다. (정치/경제에 무관심한 일인이었으나)

또한 하나님을 믿는 이들에게는 우리의 기도를 듣고 응답하시는 하나님께 구하고 일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할 막중한 기회와 책임이 있다. 다음 책 인용문처럼 예수님의 example 을 따라서. 

Unlike the "objective" religion of the empire, this narrative features an engaged, interactive, subjective faith. The God of this narrative is impacted by the prayers of the faithful. Thus, lament, complaint, and protest are legitimate ways to interrupt the thin doxologies of the empire by giving voice to the burdened particularity of daily life. The God of this narrative is drawn into that burdened dailyness in transformative ways. 

It is clear, moreover, that this practice of an alternative, seen clearly in the Old Testament texts, is reenacted in the narrative of Jesus:

1. The economy of abundance is featured in the "feeding miracles" wherein five loaves and two fish are enough for five thousand men, plus women and children. (Matthew 14:21).

2. The politics of dialogue is evident in the awareness of Jesus that he has been "touched" in a way that emits transformative power (Mark 5:30). That same demanding interaction is performed in the narrative wherein the outsider woman can challenge Jesus so that she becomes a member of the household; indeed, she becomes Jesus' teacher concerning his vocation (Mark 7:28).

3. The subjective practice of religion is commended in Jesus' parable of "the importunate widow" who is voice "from below" who incessantly addresses power (Luke 18:1-8). 

In each case, Jesus, like his Old Testament antecedents, shatters conventional propriety and legitimate alternative practice that arises from below. In this practice, he both exposes the inadequacy of empire and gives an invitation to the neighborhood. In the parlance of the church, the new selves of emancipated urgency are baptized persons. In the rhetoric of ancient Israel, they are members of the covenantal community that maintains a distinct identiy and a distinct practice in the face of empire.

(p145-146, Reality, Grief, Hope.. by Brueggemann)


:
Posted by pleasing2jc
2020. 5. 9. 23:37

Grocery Shopping in 2020 :) 카테고리 없음2020. 5. 9. 23:37


진짜 그렇다!

:
Posted by pleasing2jc
2020. 4. 30. 13:11

긴 여정 후 집에 도착하신 TP 님 카테고리 없음2020. 4. 30. 13:11

지난 3 월 중순, SIP 오더가 내려진 후, 아마존을 통해서 화장지 (toilet paper = TP) 를 주문했다.

https://howmuchtoiletpaper.com/ 에서 계산해 보니, 그 당시 집에 있던 휴지로는 약 한 달 반을 버틸 수 있을 듯 했다.

휴지가 한달 반 후에도 available 하지 않을 수 있다는 worst case scenario  고려 하에, 아마존에서 열 개 (ten rolls) 에 20 불 & 배달료 공짜인 제품을 구입했다. local store 에서는 구할 수 없었다. 

Checkout 하며 보니 4 월 말에 도착한댄다. 거의 5-6 주가 걸리다니. C 국에서 오는가보군... 

그래도 나중에 아쉬울까봐 주문했다 - 아주 심한 바가지도 아닌듯 해서.


LA 항구 또는 공항을 거친 긴 여정 끝, 휴지님께서 드디어 집에 도착하셨다. 

(사진에서 R 이라고 써있는 쪽이 이곳 휴지, L 이라고 써 있는 쪽 휴지가 C 국 휴지) 




대충 예상은 했지만 역시나.... 

휴지심 diameter 는 더 크고 휴지 전체 크기는 더 작고. 

양도 양이지만 종이자체에 불순물/중금속이라도 섞여있을까봐 쓰지 않고 버릴 가능성이 크다. 일단은 차고 구석에 뒀다. 


앞으로 아마존에서 프라임이 아닌 셀러의 물건들은 구입 안 할 거다. Made in... 도 꼭 체크할 거고. 



PS1:  다행히 우리집 휴지 보유량은 아직 괜찮다.. SIP 이전에 구입한 것도 좀 남아있고, 그 동안 이곳 스토어들에서도 구입한 것도 있다. 

PS2: 위 사진에 엑스레이 방식으로 R L 을 표시하는데,  빨리 일을 시작할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솔직히 지난 주말까지는 집에서 쉬는게  나쁘지 않았다. 잠도 잘 자고 잘 쉬고, 새로운 hobby 도 픽업하고. honey to do list 도 아이아빠에게 시키지 않고 내가 직접 하고. 이번 주에는 "ready to go back to work"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SIP 가 연장되었다. 

radiographs (엑스레이), 핸드피스,  files, 현미경 (surgical microscope), scrubs & PPE 가 그립다. 함께 일하는  분들과 환자분들이 보고 싶네.

다시 일할 때까지, 어떻게 유익한 시간을 보낼까 고민한다. 


:
Posted by pleasing2jc
2020. 4. 15. 14:43

이 시대 카테고리 없음2020. 4. 15. 14:43


영화 Wall E 에는 쓰레기를 감당못해서 인간들은 탈출한 지구 상에 홀로 남은 쓰레기 치우는 로봇이 주인공이다.

하루종일 산더미처럼 쌓인 쓰레기를 나름 열심히 치우고 퇴근한 Wall E 가 영화 Hello Dolly 를 보는 장면이 있다. 

Dystopia 적인 세계를 그린 영화 속에서, 평화롭고 즐거운 시대를 그린 영화를 보는 Wall E 다. 

지구에 위기가 닥치기 훨씬 전 '정상적'인 세계에서 인간들이 손도 잡고 음악도 즐기고 춤도 추고 즐거운 시간을 가지는 장면을 보면서, Wall E 는 그런 intimacy 등을 흠모한다.

2016 년 후반,  A 라는 인물이 선거에서 당연히 당선될거라 예상하며 아이와 이런 얘길 했었다, "아마도 미래에는 B 가 대통령이 된 dystopian movie 가 많이 만들어질거야."

그런데 모두가 깜짝 놀랄 결과였고 -심지어는 B 조차도 무척 놀란 표정인 결과였고, 시간이 흘러흘러 지금에 이르렀다.


4 년 전 만약 A 가 당선되었다면, 지금의 covid 19 에 의한 피해가 적었을 거라고 장담할 수도 없긴 하다.

하지만, 바이러스 자체 때문에라도 온 세계가 참담한 현실을 겪고 있는데, B 의 언행으로 인해 이 시대가 더 dystopian movie 처럼 느껴진다.

(게다가 한 뉴스앵커의 표현처럼 "almost biblical" 한 아프리카의 메뚜기 떼는 또 뭔지......토네이도도 그렇고.... 위해서 기도한다.)


Nitendo switch 의 게임 animal crossing 이 요즘 유행한다는 기사를 읽었다. 우리집에도 있다. Nintendo switch shortage 가 심해지기 바로 직전, 중고 기계를 인터넷에서 구입했다고 한다. 한참 대학 캠퍼스 생활을 즐기던 아이가 친구들도 못 만나고, 집에서 온라인 클라스를 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animal crossing 으로 풀고 있다. 아이는 학교 캠퍼스에서 각종 activity 와 교수들/친구들과의 interaction 을 무척 좋아했었다. 


animal crossing 같은 종류 게임의 유행현상을 설명하는 기사들은, 사람들이 게임 안에서 socialize 도 하고 게임 안에서 규칙적인 삶을 살면서 우울한 기분도 치유받고, 그게 현실로 이어져 실제로 부지런해기도 한다고 했다. 그럴 수 있는 거 같다. 

 

한편으로는 게임 속의 세계에서 위안을 찾는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Hello Dolly 를 보는 Wall E 같은 심정을 엿보기도 한다. 


게임도 그렇지만, 영화나 문학 등에서도 앞으로 한 동안은 상상 속의 dystopia 를 그리는 장르보다는, feel good movie/literature 가 많이 나오지 않을까 모르겠다.  


Wall E 를 포함한 많은 dystopian movie 들의 happy ending 에서도 그러하듯, 이 험난한 시대가 속히 잘 마무리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길 기도한다. (지금 이 시간을 처절하게 겪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서 기도한다....)

:
Posted by pleasing2jc
2020. 4. 7. 09:09

Shelter in Place 31 일째 카테고리 없음2020. 4. 7. 09:09

1. 개인적으로 Shelter in Place 31 일 째다.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shelter in place 을 오더한지는 약 3 주가 되었지만, 나는 그 전 일주일을 아이 봄방학에 맞춰서 집에서 함께 쉬는 바람에 그렇게 되었다. 가까운 곳 여행도 못가고, 시시각각 바뀌는 뉴스 체크하고 외출도 grocery shopping 정도만 해서 본의아니게 남들보다 일주일 더 긴 shelter in place 을 하게 되었다.


2. 즉 일을 쉰지도 한 달 째다. 

만약 몸상태가 괜찮았으면,  (covid 19 을 진단하는) diagnotic lab 에 가서 일하거나, healthcorps 에 자원해서 병원일을 돕는 의협심(?)을 발동했을 지도 모른다. 그런데 shelter in place 오더 내리기 전 며칠 전 시작된 기침이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어서 집에 얌전히 있다.  덕분에 back-to-back schedule/full schedule 이어야 만족하는 직업병과 약간의 번아웃 증상이 많이 치유되고 있는 중이다. 기침이 앨러지 or 감기 or 다른 것으로 인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post nasal drip 때문에 심하다. 참 특이한게,  일정자세로 누워있으면 기침이 좀 덜 하다는 거다. Anatomy 때문에 그런지... 나중에 이비인후과에 가서 검사를 한번 받아봐야겠다. 하여튼 그래서 침대에 누워서 책을 읽거나 뭔가를 듣거나 하는 시간이 많다. "뭐 이런 증상이 다 있지? 하나님이 나보고 좀 누워서 쉬라고 하시나보다" 하면서 맘대로 해석하고 있다. 누워있다보면 늦잠/낮잠도 많이 자게 되고. 이전같으면 스스로를 용서 못하고 자책했겠지만 지금 좀 봐 주고 있다. 


3.  낮시간에는 그 전에 안 하던 시간이 많이 드는 요리? 를 시도해 보고 있다.  그 전에는 시간을 쪼개쓰다가, 이제는 시간을 보내려고 야채를 잘게 썰고 있다.  

그 외에 뉴스 등 읽어야 할 것도 많고 들어야 할 것도 많고,

내가 다녔던 학교들이나 전공협회나 dental suppliers, 또 기독교 단체에서 제공하는 webinars 도 엄청 많다.  전에는 읽지도 않고 무시하던 이메일들을 부지런히 체크하며 흥미로운 webinars 는 듣고 있다. 


4.  uncertain 시간을 살아가며 질문들이  무척 많다.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또 좀 더 좁게는 우리 profession 이 어떻게 변화될지, 개인들의 삶이 어떤 영향을 받을지.... practical 하게 work from home 할 수 있는 기술도 하나 연마해야 하나 고민하는데, 몸이 안 따른다. 


5. 이런저런 책이나 글들도 읽고 있다 - 무척 진도가 천천히 나가고 있긴 하지만. 

정리해 보면, 이 기간 묵상하는 theme 은 크게 두 개다: Sabbath and Lament

Sabbath: 

  • <Sabbath as Resistance> by Walter Brueggermann - 이번에 두 번쨰 읽은건데 아직 온전히 소화하지 못해서 몇 번 더 읽어야 할 듯. 최근 2-3 년간 월터 브루그먼 책들을 읽고 있는데 그의 주장들이야말로 정말 prophetic 하지 않나 싶다.

  • <The Sabbath> Abraham Joshua Heschel - 아직 읽고 있는 중

Lament

  • <Prophetic Lament> by Soong-Chan Rah. 이것도 이번에 두 번째 읽었다. 저자가 이 책을 쓴 context 는 미국(교회)의 celebration culture/triumphalism/exceptionalism 이고, 재난 상황이 아니지만, 그래도 하나님의 은혜만을 간구하고 소망하는 lament 에 대해서 생각케 된다.

  • NT Wright 의 Time magazine 글 - 기사제목을 NT Wright 이 정한게 아니라 time magazine 쪽에서 정했다고. 저자 왈,  자신의 쓴 글의 의도의 반만 설명한 제목이라고 (어디선가 읽었는지 들었는지 정확한 source 는 지금 못 찾겠다. podcast 였던거 같기도 하고)  

  • Five Things to know about Lament Dr. Glenn Packiam (NT Wright online) 


6. Sabbath 와 Lament 는 결국 God's Lordship/sovereignity 와 Hope 등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prophetic lament >에 나오듯 너무나도 쉽게 다음단계로 나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 진정으로 겸손하게 고개 수그리고 깊이 lament 해야 하는 때인가...  예례미야 애가나 구약(에스겔, 엘리야 가뭄 시대 등) 을 읽으며 믿음의 조상들이 어떤 시간들을 겪어오고 어떻게 lament 했고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지했는가 이웃과 세상과 함꼐 했는가 보면서 현재의 의미를 구하고 하나님을 구한다. 


:
Posted by pleasing2jc


Covid 19 에 관한 modeling/simulation 등에 대해서 useful 한 기사들 몇 가지.


확실한 vaccine 이나 치료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public health policy/epidemiology 의 면에서 어떤 것들을 expect 해야 하나 짐작케 해 주는 기사들이다. 도표들만 봐도 도움이 된다. 





:
Posted by pleasing2jc
2020. 3. 22. 21:35

3/22/20- Psalm 46 카테고리 없음2020. 3. 22. 21:35

오늘 encounter with God 본문말씀

이 시국에 읽는 시편 46 편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v10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을 실천할 수 있는 시간이다. 


Psalm 46

1 God is our refuge and strength,
an ever-present help in trouble.
2 Therefore we will not fear, though the earth give way
and the mountains fall into the heart of the sea,
3 though its waters roar and foam
and the mountains quake with their surging.[c]

4 There is a river whose streams make glad the city of God,
the holy place where the Most High dwells.
5 God is within her, she will not fall;
God will help her at break of day.
6 Nations are in uproar, kingdoms fall;
he lifts his voice, the earth melts.

7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8 Come and see what the Lord has done,
the desolations he has brought on the earth.
9 He makes wars cease
to the ends of the earth.
He breaks the bow and shatters the spear;
he burns the shields[d] with fire.
10 He says, “Be still, and know that I am God;
I will be exalted among the nations,
I will be exalted in the earth.”

11 The Lord Almighty is with us;
the God of Jacob is our fortress.

:
Posted by pleasing2jc

Christianity Today 에서

1. For the sick and infected: God, heal and help. Sustain bodies and spirits. Contain the spread of infection.

2. For our vulnerable populations: God, protect our elderly and thos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 Provide for the poor, especially the uninsured.

3. For the young and the strong: God, give them the necessary caution to keep them from unwittingly spreading this disease. Inspire them to help.

4. For our local,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God, help our elected officials as they allocate the necessary resources for combatting this pandemic. Help them to provide more tests.

5. For our scientific community, leading the charge to understand the disease and communicate its gravity: God, give them knowledge, wisdom, and a persuasive voice.

6. For the media, committed to providing up-to-date information: God, help them to communicate with appropriate seriousness without causing panic.

7. For consumers of media, looking to be well-informed: God, help us find the most helpful local information to equip us to be good neighbors. Keep us from anxiety and panic, and enable us to implement the recommended strategies, even at a cost to ourselves.

8. For those with mental health challenges who feel isolated, anxious, and helpless: God, provide them every necessary support.

9. For the homeless, unable to practice the protocols of social distancing in the shelter system: Protect them from disease, and provide isolation shelters in every city.

( 캘리포니아의 많은 homeless 들이 covid 19 사태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을 정도라고.. -California rushes to prevent virus spread among the homeless)


10. For international travelers stuck in foreign countries: God, help them return home safely and quickly.

11. For Christian missionaries throughout the world, especially in areas with high rates of infection: God, provide them with words of hope, and equip them to love and serve those around them.

12. For workers in a variety of industries facing layoffs and financial hardship: God, keep them from panic, and inspire your church to generously support them.

13.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t home for the foreseeable future: God, help mothers and fathers to partner together creatively for the care and flourishing of their children. For single mothers and fathers, grow their networks of support.

14. For parents who cannot stay home from work but must find care for their children: God, present them with creative solutions.

15. For those in need of regular therapies and treatments that must now be postponed: God, help them to stay patient and positive.

16. For business leaders making difficult decisions that affect the lives of their employees: God, give these women and men wisdom, and help them to lead self-sacrificially.

17. For pastors and church leaders faced with the challenges of social distancing: God, help them to creatively imagine how to pastor their congregants and love their cities well.

18. Fo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whose courses of study are changing, whose placements are cancelled, whose graduation is uncertain: God, show them that while life is uncertain, their trust is in you.

19. For Christians in every neighborhood, community, and city: May your Holy Spirit inspire us to pray, to give, to love, to serve, and to proclaim the gospel, that the name of Jesus Christ might be glorified around the world.

20. For frontline health care workers, we thank you for their vocational call to serve us. We also pray:

  • God, keep them safe and healthy. Keep their families safe and healthy.
  • God, help them to be knowledgeable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is disease, as well as the changing protocols.
  • God, help them to stay clear-minded in the midst of the surrounding panic.
  • God, deliver them from anxiety for their own loved ones (aging parents, children, spouses, roommates).
  • God, give them compassion for every patient in their care.
  • God, provide for them financially, especially if they fall ill and are unable to work.
  • God, help Christians in health care to exhibit extraordinary peace, so that that many would ask about the reason for their hope. Give them opportunities to proclaim the gospel.

God, we trust that you are good and do good. Teach us to be your faithful people in this time of global crisis. Help us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our faithful shepherd, Jesus, who laid down his life for the sake of love. Glorify his name as you equip us with everything needed.


:
Posted by pleasing2jc